





로컬 정착을 위한 청년 연구자 - 의성 살아보기
농촌 청년의 삶의질 향상과 청년의 목소리를 반영한 청년정책 수립의 기회를 드립니다. 연구비도 받고 논문도 쓰고 정책도 개발하여 현장에 맞는 정책 개발로 현실성 있는 청년정책을 개발해봅시다~!








* 1인당 최대지원금은 1팀당 최대지원금일수도 있으며, 상황에 따라 여러형태로 변하기때문에 본문 혹은 공고문에서 여행지원금 항목을 디테일하게 체크하시기 바랍니다.
의성군에서는 청년의 정착과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에 의성군 청년센터는 의성의 청년들의 성장을 위한 정책 수립, 농촌 여성의 육아와 보육, 청년 삶의 질 향상, 청년이 찾아오는 의성을 위해 관련 분야를 연구하는 청년 연구자들의 의성 살아보기를 지원하며 의성형 청년정책 수립과 청년 연구자의 연구 성과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자 합니다.
모집기간 : ~ 8. 21 (수) 17:00
모집대상
- 청년정책, 농촌 정책, 농촌 여성 관련 분야 청년 연구자
- 사회적경제, 지역 활력 증진(문화, 정보전달 포함) 등 관련 분야 청년 연구자
- 참여 분야에 관심을 가지는 청년 연구자 및 활동가
- 석사, 박사 우대
- 청년이란 19세(05년생) ~ 45세(79년생)
참여분야
- 농촌 청년 여성의 삶의 질 향상과 육아 및 보육에 관한 정책 분석 및 제안
- 농촌 청년 삶의 질 향상과 지속적 성장 방안 정책 분석 및 제안
- 농촌 지역의 균형적 정보전달 및 확산을 위한 정책 분석 및 제안
- 의성(농촌)의 문화적 성장을 위한 정책 분석 및 제안
- 그밖에 농촌(의성)의 청년을 위한 정책 분석 및 제안
지원내용 활동
- 숙박 지원 : 숙박공간 (청춘어람 : 의성군 금성면 대리리 69-3)
- 활동비(연구비) 지원(약 100만원 ~ 130만원 정도)
- 지역 활동비 및 연구비 지원(식비 포함)
- 총지원금의 8.8% 원천징수 후 연구활동비 지급
- 지역 청년 및 주민 네트워킹
- 참여자 간 네트워킹
- 우수 정책 테스트 시행 기회 부여
- 여행자 보험 가입 지원
신청방법
- 신청서 및 제안서 양식을 다운받아 작성 후 제출
- 신청서 작성 후 파일명을 [이름-청년 연구자 살아보기 참여 신청서]로 하여 이메일로 제출 (ehdwn1000@naver.com)
- [신청하기] 버튼을 누르면 이메일로 자동연결됩니다.
심사일정
- 온라인 대면 심사 : 2024. 8. 26.(월), 15시
- 결과발표 : 2024. 8. 27.(화)
- 최종 선정 결과 홈페이지 게시 및 개별 통보
- 상기 일정은 센터 사정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
- 온라인 대면 심사는 필요시 진행 예정
선정기준
제출서류
- 청년 연구자 살아보기 참여 신청서 1부
- 주민등록표 등본 1부
- 재학증명서 혹은 졸업증명서 1부
- 관련분야 재직 혹은 경력 증명서 1부(해당시)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동의서 1부
기타사항
- 제출된 제안서 및 관련 서류는 반환하지 않습니다.
- 지원 신청 내용 및 제출된 서류 내 허위 사실이 발견될 경우 선정 이후에도 취소될 수 있습니다.
- 참여자 본인은 프로그램에 참여함에 있어 안전상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해야 합니다.
- 센터에서 직접적으로 수행하는 프로그램 이외의 시간은 참여자의 자유 연구 시간으로 연구 결과 도출을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하며 자유 연구 시간의 안전상 문제는 센터에서 책임지지 않습니다. (※ 개인 여행자 보험은 센터에서 일괄 가입 합니다.)
- 본 프로그램을 통해 제안된 우수한 정책은 의성군이 우선 시행할 수 있으며 관련 저작권 및 권리는 의성군이 함께 가지며 참여자는 관련 내용을 활용할 시 의성 연구자 살아보기를 통해 수행되었음을 알려야 합니다.
- 상기 일정은 센터의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의성군 청년센터
- 전화 : 054-833-4520 (담당자 직통번호 : 070-4108-4500/황동주)
- 주소 : 의성군 경북대로 5690, 의성군 청년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