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남 보성 '2025년 청년마을 만들기 사업'을 함께 준비할 동료 모집
'그린티모시레'는 전남 보성에서 [가장 찬란한 시기 오로지 나에게 집중하는 시간]이라는 슬로건과 함께 2025년 청년마을 만들기 사업을 준비하고 있는 팀입니다. 마을명은 녹차를 뜻하는 영단어 ‘Green Tea(그린티)’와 마을을 뜻하는 전라남도 방언 '모시레'가 만나 탄생하게 되었습니다. 2024년 11월부터 '2025년 청년마을 만들기 사업'을 함께 준비할 동료를 찾고 있습니다.









* 1인당 최대지원금은 1팀당 최대지원금일수도 있으며, 상황에 따라 여러형태로 변하기때문에 본문 혹은 공고문에서 여행지원금 항목을 디테일하게 체크하시기 바랍니다.
[팀원모집] 전남 보성에서 2024년 11월부터 '2025년 청년마을 만들기 사업'을 함께 준비할 동료를 찾습니다
저희의 동료가 된다면, 당장 11월부터 보성으로 귀촌하여 본격적으로 사업 준비를 시작하게 됩니다. 참고로, 저는 경기도에서 태어나 초중고를 마치고, 세종에서 대학생활을 한 뒤, 서울에서 쭉 사회생활 했던 사람입니다.
보성은 연고도 없지만 사업실현가능성을 안고 내려갔다가 자연과 사람들의 따뜻함에 반해 선택한 도시입니다. 낯선 땅에서 선정될 수 있을 것이라는 희망을 안고, 올해 7월부터 준비를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왜 하필 보성이냐는 보성군 관계자 분들의 질문에 더 확실한 답을 찾아나가는 과정 속에서 더 보성이라는 확신이 들었던 것 같습니다. 그렇게 여러 이유로 보성을 선택했고, <용산 : KTX - 광주송정:무궁화 - 보성>을 오가며 사업을 준비했습니다.
팀원부터 찾고, 같이 준비하지 왜 혼자 모든 걸 안고 시작하려고 하냐는 질문을 받곤 했는데 저부터 확신이 없는 일에 여러 사람을 고생시키고 싶지 않았고, 사공이 많으면 배가 산으로 간다는 말처럼 길을 찾는 과정 속에서 의견이 많으면 방향을 잃을 것 같았습니다. 기본적인 프로젝트의 틀이 잡은 뒤 그 속에서 자유롭게 놀고 싶었고, 지금이 그 시기라는 확신이 들어 구인공고를 준비하게 되었습니다.
■ 모집기간 : 2024.10.28 (월) ~ 11월 4일 (월)
■ 활동기간 : 2024.11.15 ~
■ 모집인원 : 0명 (성별무관)
■ 참여비용 : 자부담 100만원
■ 주소 : 전남 보성군 (상세주소 지원자에 한해 공개)
■ 이런 분을 찾고 있어요
- 내년에도 법정 청년나이에 해당되시는 분 (만 19세 이상 34세 이하)
- '청년마을 만들기 사업'에 관심을 가지고 계시는 분
- 보성에서 3년 이상 거주하는 것과 관련하여 동의하시는 분
- 공동체 생활에 대한 거부감이 없으신 분
- 11월 10일까지 100만원(생활비) 마련이 가능하신 분
- 기획파트 혹은 회계파트에 도전하고자 하는 의지가 있으신 분 (유경험자 환영)
■ 지원방법 : 한달살러폼 신청서 작성
지원해주신 모든 분들과 온오프라인 미팅 진행 예정입니다. 미팅일이 잡히면, 사전에 현재 완성된 1차 청년마을 기획안을 전달드릴 계획이며, 미팅과정에서 충분히 소통을 진행한 뒤 빠른 시일 내에 합류 가능 여부를 확정하여 연락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지원서 작성 과정에서 궁금증이 생기면 언제든 메일 혹은 댓글, DM 등을 통해 문의사항 남겨주시면 반드시 1시간 이내 답변 전달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
Q. 100만원의 사용처는 무엇인가요?
A. 보성군 저희와 협력을 맺은 마을 내 월세집을 구하게 되었습니다.
'조건 - 보증금 없음. 월 30만원. 방3개. 마당만 30평 이상. 년단위 계약. 1년 월세 선입금 형태 진행'
올해 11월 부터 내년 11월까지 1년 동안 사용 가능한 공간으로, 360만원이 사용될 예정입니다.
'청년마을 만들기 사업'은 최소 4인 이상 구성이 필수 요소임으로 최소 2인 추가 모집을 진행하여 4인 이상으로 구성할 예정입니다. 4인으로 진행된다고 했을 때, 인당 90만원의 비용을 월세로 지불하고 40만원으로는 생필품 구입의 용도로 사용하고자 합니다. 자부담 100만원이라고 기입해 두었지만 생활비라고 칭하는 것이 더 적합한 표현이 될 수 있겠습니다.
Q. 어디까지 프로젝트가 진행된 상황인가요?
A. 보성군 내 협력을 약속 받은 마을이 있고, 마을 내 사용 가능한 여러 공간을 확보해 둔 상황입니다.
또한 최소 3달 전부터 기획하고 준비한 부분이기에 꾸준히 연락하고 도움을 받고 있는 보성 관계자 분들이 계십니다.
보성군 청년센터, 보성 귀농귀촌지원센터, 마을 이장님 등 보성 내 청년마을 기획 과정에서 인적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는 과정중에 있습니다. 처음으로 보성을 선택하고, 기획안을 준비한 저와, 관련 기획안에 관심을 가지고 함께 프로젝트를 준비하고 있는 동료까지 현재까지 2인이 프로젝트를 이끌어가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씀드릴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블로그 및 SNS
○ 블로그 https://m.blog.naver.com/starforest_document/223635987158
○ 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p/DBqM7JLRj4T/?igsh=MW96NnpocWJ6YjYzYg==
문의처
○ 이메일 abcabbcnext123@naver.com
○ 인스타그램 @greent_mosire